자유 게시판
글 수 3,513
안녕하십니까?
192세대입니다.
작년에 관리비가 맞도 틀리다 하여 전회장은 임원을 명예훼손으로 고소하고 해서 참으로 안타까웠습니다.
올해 우여곡절 끝에 총무를 맡았습니다.
다시는 앞으로 관리비에 대해서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총무로써 역활을 할 계획입니다
감사는 올해 정했지만 2005년 결산보고를 제가 하게 되었습니다.
2005년 부과현황은 날짜와 도장만 찍었지 금액을 적지 않는 관계로 어떤 세대가 얼마를 납부 했는지 모르게 되어 있습니다.
그것을 알려면 2005년 1월 -12월 입금내역서와 통장을 일일히 확인하여 보야만 되는데 혼자의 힘으로는 될 것 같지 않아 의견을 모아 그냥 덮어 두기로 합의를 하였습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2006년도부터 저는 정확한 월별 수입세출 내역, 산출을 요구하였습니다.
2006년 부과 현황에는 반드시 금액을 적게 하였습니다, 그리고 오늘 아침에는 기입하여 놓은 1월달 부과현황도 저 나름대로 수입을 계산하여 보았습니다.
전부터 소장에게 2006년 1월 1일부터 1월 31일 까지 통장수입 지출 내역서를 농협, 원협에서 빼다 놓으라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소장은 총무의 요구를 듣지 않아 아침에 회장에게 부탁하였습니다.
소장에게 통장 수입지출에 관한 것을 빼다가 제가 볼 수 있게 말입니다.
소장은 70여 만원을 받고 일을 하는데 250만원짜리 일을 시킨다고 반발이 심합니다.
작년대로 나가자고 하는데 저만 독불장군 되는 것 같습니다.
저 나름대로 잘해볼려고 컴퓨커도 없어서 사비로 100,000원 주고 구입하여 관리소에 설치하였습니다.
어떤 사람은 시의원에 나올려고 그러느냐?
대충 넘어가지 왜 그걸 가지고 시끄럽게 떠드느냐?
심지어는 회계장부는 감사만 보는 것이지 니가 도대체 무엇이가니 보느냐고 이야기 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제가 볼 때는 주인이 고용인(소장)을 일을 잘못시켰다고 생각을 합니다.
아파트 주인으로써 아파트 주민들을 위하여 투명하게 수입지출을 공개하며 할려고 하는데 총무로써 어떤 역활을 해야 하고 그에 따르는 어떤 의무가 뒤따른 것인지 자세하게 알려 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참고로 총무판공비는 없습니다.
아울러, 아파트 자금이 대략 4천여만원 되는데 소장, 회장은 몇천만원짜리 이상 지급보증보험을 들어가야 하는지도 아르켜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올해도 많은 도움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92세대입니다.
작년에 관리비가 맞도 틀리다 하여 전회장은 임원을 명예훼손으로 고소하고 해서 참으로 안타까웠습니다.
올해 우여곡절 끝에 총무를 맡았습니다.
다시는 앞으로 관리비에 대해서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총무로써 역활을 할 계획입니다
감사는 올해 정했지만 2005년 결산보고를 제가 하게 되었습니다.
2005년 부과현황은 날짜와 도장만 찍었지 금액을 적지 않는 관계로 어떤 세대가 얼마를 납부 했는지 모르게 되어 있습니다.
그것을 알려면 2005년 1월 -12월 입금내역서와 통장을 일일히 확인하여 보야만 되는데 혼자의 힘으로는 될 것 같지 않아 의견을 모아 그냥 덮어 두기로 합의를 하였습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2006년도부터 저는 정확한 월별 수입세출 내역, 산출을 요구하였습니다.
2006년 부과 현황에는 반드시 금액을 적게 하였습니다, 그리고 오늘 아침에는 기입하여 놓은 1월달 부과현황도 저 나름대로 수입을 계산하여 보았습니다.
전부터 소장에게 2006년 1월 1일부터 1월 31일 까지 통장수입 지출 내역서를 농협, 원협에서 빼다 놓으라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소장은 총무의 요구를 듣지 않아 아침에 회장에게 부탁하였습니다.
소장에게 통장 수입지출에 관한 것을 빼다가 제가 볼 수 있게 말입니다.
소장은 70여 만원을 받고 일을 하는데 250만원짜리 일을 시킨다고 반발이 심합니다.
작년대로 나가자고 하는데 저만 독불장군 되는 것 같습니다.
저 나름대로 잘해볼려고 컴퓨커도 없어서 사비로 100,000원 주고 구입하여 관리소에 설치하였습니다.
어떤 사람은 시의원에 나올려고 그러느냐?
대충 넘어가지 왜 그걸 가지고 시끄럽게 떠드느냐?
심지어는 회계장부는 감사만 보는 것이지 니가 도대체 무엇이가니 보느냐고 이야기 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제가 볼 때는 주인이 고용인(소장)을 일을 잘못시켰다고 생각을 합니다.
아파트 주인으로써 아파트 주민들을 위하여 투명하게 수입지출을 공개하며 할려고 하는데 총무로써 어떤 역활을 해야 하고 그에 따르는 어떤 의무가 뒤따른 것인지 자세하게 알려 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참고로 총무판공비는 없습니다.
아울러, 아파트 자금이 대략 4천여만원 되는데 소장, 회장은 몇천만원짜리 이상 지급보증보험을 들어가야 하는지도 아르켜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올해도 많은 도움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006.02.09 10:49:35 (*.84.151.21)
소장은 3천만의 보증보험에 가입햐여야 하며 이는 의무사항입니다. 그리고 총무나 임원의역활에 대햐여는 판례상 당 아파트위 관리규약에 해석을 맞추므로 주택법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관리규약으로 정해 놓으셔야 뒷말이 없을 것입니다.
2006.02.09 12:53:47 (*.223.186.11)
저희 아파트규모와 비슷하네요, 그런데 말씀하신 내용만 가지고는 조언하여 드리기가
곤란하여 아래와 같은 내용을 질문합니다,
1) 단지 전체면적
2) 관리인원
3) 평형
4) 세입자 및 소유주의 분포
5) 특이사항
곤란하여 아래와 같은 내용을 질문합니다,
1) 단지 전체면적
2) 관리인원
3) 평형
4) 세입자 및 소유주의 분포
5) 특이사항
2006.02.10 09:18:11 (*.74.242.104)
혹시 자격증 없는 소장님이 아니신지 의심스럽네요...같은 소장으로 있지만 수준 미달이라고 생각이 드네요...빨리 제대로 된 소장님으로 채용하시고 급여도 올려주셔서 정상적인 관리가 되는것이 주민의 관리비가 절감된다고 생각듭니다...위탁관리도 고려를 해 보시기 바랍니다.(정상화될때까지)
2006.02.10 10:12:17 (*.207.169.29)
총무님의 열성에 경의를 표합니다.
상기의 내용으로 볼때 (임금, 입금 처리 등) 자격자인 소장을 쓸 수도 없을 뿐 아니라
추측 컨대 경리가 없는것 같은데요 이런경우는 복식부기는 불가능할 것같고 일반 가계부 작성하듯이 하여서 힘든것 같습니다.
총무님의 열의는 있는데 현실은 따라주지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현재는 수입과 지출만을 단식으로 처리하고 상세내역은 기록을 못하게 되는데 이유는
경리가 없기 때문입니다. 아니면 있다 하더라도 경리가 혹은 겸임인 소장이 매일 혹은 2일에 한번씩 은행에 들러 전표를 수령하여 정리를 하여야 하는데 보기에는 소장, 경리, 시설을 하면서 작은 금액을 받는 분에게는 당연히 무리일수 밖에 없고 그만한 능력을 가진 분은 아니라서 어쩔수 없는 것입니다.
방법은 시설유지를 유하여 기사분을 두시고 관리전반에 대해서는 위탁관리를 맞기시면
현재의 비용으로도 원하시는 바를 이룰수 있을것 입니다.
이경우 당연히 소장이나 경리는 비용면에서 상주가 불가능할 것이고 본사에서 직영으로 관리하여 매월 재무제표와 부과내역서를 받고 확인하는 방법으로 하면 비용이나 관리비의 정산 및 부과가 제대로 이뤄질 것 같습니다.
현재의 체계로는 소장님이나 총무님의 열성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원하는 만큼의 업무처리가 불가능합니다.
관리소장
상기의 내용으로 볼때 (임금, 입금 처리 등) 자격자인 소장을 쓸 수도 없을 뿐 아니라
추측 컨대 경리가 없는것 같은데요 이런경우는 복식부기는 불가능할 것같고 일반 가계부 작성하듯이 하여서 힘든것 같습니다.
총무님의 열의는 있는데 현실은 따라주지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현재는 수입과 지출만을 단식으로 처리하고 상세내역은 기록을 못하게 되는데 이유는
경리가 없기 때문입니다. 아니면 있다 하더라도 경리가 혹은 겸임인 소장이 매일 혹은 2일에 한번씩 은행에 들러 전표를 수령하여 정리를 하여야 하는데 보기에는 소장, 경리, 시설을 하면서 작은 금액을 받는 분에게는 당연히 무리일수 밖에 없고 그만한 능력을 가진 분은 아니라서 어쩔수 없는 것입니다.
방법은 시설유지를 유하여 기사분을 두시고 관리전반에 대해서는 위탁관리를 맞기시면
현재의 비용으로도 원하시는 바를 이룰수 있을것 입니다.
이경우 당연히 소장이나 경리는 비용면에서 상주가 불가능할 것이고 본사에서 직영으로 관리하여 매월 재무제표와 부과내역서를 받고 확인하는 방법으로 하면 비용이나 관리비의 정산 및 부과가 제대로 이뤄질 것 같습니다.
현재의 체계로는 소장님이나 총무님의 열성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원하는 만큼의 업무처리가 불가능합니다.
관리소장
2006.02.10 13:20:14 (*.99.241.102)
참고로 엘리베이터가 없는 6층이며 지어진 지는 12년 정도 되었습니다
20평이 108세대에 관리비가 세대별 25,500원
26평은 48세대에 세대별 29,800원
28평은 36세대에 관리비가 31,200원입니다. 대략 예상 한달 평균 관리비가 5,326,000원입니다
관리소 직원은 소장급여 735,000원, 경비 2인 1,196,560원, 미화급여 598,280원입니다.
20평이 108세대에 관리비가 세대별 25,500원
26평은 48세대에 세대별 29,800원
28평은 36세대에 관리비가 31,200원입니다. 대략 예상 한달 평균 관리비가 5,326,000원입니다
관리소 직원은 소장급여 735,000원, 경비 2인 1,196,560원, 미화급여 598,280원입니다.
2006.02.14 15:20:08 (*.235.123.94)
도대체 무슨 소장이 급여가 735.000원 이래??? 어떻게 경비보다 적어??? 줄만치 주고 확실하게 해야지 않그러면 시간이 가면 갈수록 잘못된 행정이 누적되어 골치아픈 결과가 초래된다. 싼게 비지떡이지.......
2006.02.15 18:02:16 (*.223.186.11)
답이 늦어 죄송합니다.
오해없이 참고바랍니다
일단 상황을 보니 말이 많고 자율적인 관리가 힘들것 같습니다
아래와 같은 내용을 보시고 참고하십시요
1) 관리비 정산은 용역 업체에 의뢰하십시요
# 인터넷으로 입력만하면 고지서 인쇄 및 회계결산 처리도 됨니다
소요 금액 약 70,000원정도임
2) 각 직원의 고용계약서를 검토하시고 노동법에 맞는 계약서를 작성하십시요
# 노무, 산재 담당 선생님께 문의 하시면 됩니다
3) 관리규정을 잘 검토하시고 미흡하면 타아파트 규정집을 참고하시어 귀아파트에
맞는 자차관리 규정을 만들어야 하곘습니다.
4) 모든 업무는 원칙(관리규정)에 준하여 처리하는 분위기 만들어야 합니다.
# 그래야 직원들이 따름
5) 또한 관리규정 중 주민이 지켜야 할 부분을 잘이해하고 공부하여 관리규정에 달인이
되게 노력하여야 합니다.
관리 10여년동의 경험을 두서없이 글을 올렸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오해없이 참고바랍니다
일단 상황을 보니 말이 많고 자율적인 관리가 힘들것 같습니다
아래와 같은 내용을 보시고 참고하십시요
1) 관리비 정산은 용역 업체에 의뢰하십시요
# 인터넷으로 입력만하면 고지서 인쇄 및 회계결산 처리도 됨니다
소요 금액 약 70,000원정도임
2) 각 직원의 고용계약서를 검토하시고 노동법에 맞는 계약서를 작성하십시요
# 노무, 산재 담당 선생님께 문의 하시면 됩니다
3) 관리규정을 잘 검토하시고 미흡하면 타아파트 규정집을 참고하시어 귀아파트에
맞는 자차관리 규정을 만들어야 하곘습니다.
4) 모든 업무는 원칙(관리규정)에 준하여 처리하는 분위기 만들어야 합니다.
# 그래야 직원들이 따름
5) 또한 관리규정 중 주민이 지켜야 할 부분을 잘이해하고 공부하여 관리규정에 달인이
되게 노력하여야 합니다.
관리 10여년동의 경험을 두서없이 글을 올렸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꼭 이루셔서 이번 기회에 바로 잡아야 합니다.투명한 관리비,투명한행정..관리소의 위상도 꼭라갑니다...소장이 반대하다니 이해가 안갑니다..
전산을 대행해 주는 곳도 있고..내용을 참조하시고 관련자료를 검색해 보심이 필요합니다..
아직도 이런 데가 많은 줄 알고 있습니다..조그마한 소규모 아파트는 관리비 면에서도
정확지않고 ..문제가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