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 Ⅲ 편 집합건축물 유지관리 매뉴얼 4. 최적 보수ㆍ보강 기법 4.4 최적 보수.보강 기법산정방법 4.4.1. 개 요 본 매뉴얼에서 제시하는 최적 보수?보강 기법의 선정은 발주자의 관점에서 중요한 요소인 공기, 품질, 비용에 대해 연구에 의해 개발 제시된 최적 보수?보강 기법 선정 모델(AHP 산정식)을 이용하여 중요도 값을 산출하고 이들 값 중, 최대값을 갖는 공법 및 재료를 선택함으로써 보다 객관적인 방법으로 최적 공법 및 재료를 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도식으로 표시하면 <그림 3>과 같다.
이때에 이용되는 재료 및 공법 평가값은 연구에 의해 다음과 같은 수식모델에 의해 산출되어 이용된다, ? T:공기 Q:품질 C:비용 M:자재 P:공법 Rt, Rq, Rc:재료 및 공법 선정 상수(공기, 품질, 비용) ? 발주자의 의도(1) = T + Q + C = (Mt + Pt) T + (Mq + Pq) × Q + (Mc + Pc) × C = (Rt × T) + (Rq × Q) + (Rc × C) 수식에 표시된 Rt, Rq, Rc 의 값은 상수로 공기, 품질, 비용에 대한 재료및 공법에 대한 상수로서 이들 상수 값들을 얻기 위해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설문결과를 분석하여 <표 2>와 같이 각 항목별 값을 도출하여 예시 하였다.
예시된 <표 2>의 값을 근거로 도출된 최적기법 AHP 결정식은 다음과 같다. 4.4.2. 공법-재료의 분류 <표 3, 4>는 보수?보강 공법 및 재료를 원가, 품질, 공기 측면에서 평가 한 결과를 예시하고 있다.
4.4.3. 최적 보수?보강기법 선정 순서 보수최적 보수?보강기법의 선정은 가장 먼저 발주자의 의도가 명확하게 전제되어야 한다. 공기를 우선으로 하느냐 아니면 품질 혹은 비용을 우선으로 하느냐에 따라 그 선정 결과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그림 4>는 이들 선정 순서를 도식화하여 표시한 것으로 실제 적용 예와 비교하면서 참조하면 선정하는 데 큰 어려움이 없으리라 판단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