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각종설비의 고장과 응급대책 
              
              (1)  급배수·위생설비 
              
                
 
  | 
   항  목 
   | 
  
   고 장 상 태 
   | 
  
   응 급 대 책 
   | 
  
 
  | 
   위생설비 
   | 
  
   대변기·소변기의
  흐름이 불량하다 
   | 
  
   ·고형물
  기타의 엉킴이 있는 경우, 시판중인 '트래펑' 등 으로 압출한다. 
   | 
  
 
  | 
   대변기의
  물이 줄줄 흐른다  
  (1) Low-tank방식 
   | 
  
   ·볼탭의
  패킹이 마모되어 있는 경우, 패킹을 교체 
  ·볼탭의
  물 높이를 2-3cm정도 내린다. 
   | 
  
 
  | 
   ·볼탭이
  빠진 경우, 똑바로 달고, 연결부위를 조정한다. 
   | 
  
 
  | 
   ·패킹
  또는 볼탭에 티끌  또는 이끼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 청소한다. 
   | 
  
 
  | 
   (2) 압력밸브식의 경우 
   | 
  
   ·먼지
  또는 이끼가 생기는 경우가  있으므로 전문업자에게
  의뢰한다. 
   | 
  
 
  | 
   대변기에
  괸물이 없다. 
   | 
  
   ·Low tank내부  보조급수관이 오버플로우관에서 빠져있는 경우, 보조 급수관을  오버플 
                        로우관에 끼워넣는다. 
   | 
  
 
  | 
   세면기둘레의
  급수관누수 
  대변기 
                        Low-tank 둘레의 급수관 누수 
   | 
  
   ·주머니
  너트의 체결부위를 늘림. 
  ·연결관과
  지수전과의 접착면의 조정  
  ·패킹의
  교환 
   | 
  
 
  | 
   세면기의
  배수흐름이 불량하다. 
   | 
  
   ·배수구둘레에
  머리카락이 부착되고, 엉켜있는 경우, 볼탭을 빼내서 청소한다. 
   | 
  
 
  | 
   수세식변기의 물빠짐이 불량하다. 
   | 
  
   ·지수전이
  조여있는 경우, 이를 조절한다.  
   | 
  
 
  | 
   ·스트레너
  및 발포  Cap에  쓰레기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 먼지를 제거한다. 
   | 
  
 
  | 
   급수 
   | 
  
   양수펌프를
  기동해도 양수가 되지 않는다. 
   | 
  
   ·펌프의
  유도수가 부족한 경우, 물을 보급한다 
   | 
  
 
  | 
   ·공기를
  빨아들이는 경우, 섹션측의 배관의 플랜지, 그랜드패킹의  느슨함을 곧바로 조인다. 
   | 
  
 
  | 
   ·후드변의
  고장, 먼지 또는 이끼의 부착으로 인해 물이 빠진 경우, 쓰레기의 제거, 후드변을 교환함 
   | 
  
 
  | 
   지수전의
  오버플로우에서 물이 유출된다. 
   | 
  
   ·볼탭의
  패킹이 마모되어 있는 경우, 패킹을 교체한다. 
   | 
  
 
  | 
   ·정수위
  조정변이 쓰레기나 물때의 부착으로 인해 물이 빠지는 경우, 메인밸브 또는 손잡이밸브를 빼내어 제거한다. 
   | 
  
 
  | 
   고가수조에서
  급수가 안되고 단수되었다. 
   | 
  
   ·양수펌프를
  작동해도 양수되지 않는 항목참조 
  ·고가수조의
   전극봉이 고장난 경우, 수동으로 끄고 수조에 물을 넣는다. 
   | 
  
 
  | 
   고가수조가
  만수위가 되었음에도 펌프가 멈추지 않고 오버플로우에서 물이 흘러나온다. 
   | 
  
   ·고가수조의
  전극봉이 고장난 경우, 수동으로 끈다. 
   | 
  
 
  | 
   천정, 바닥 및 벽에서 누수되고 있다. 
   | 
  
   ·누수되고
  있다고 생각하는 급배수관의 계통을 조사하여, 물사용을 금지한다. 
   | 
  
 
 
  | 
   급탕 
   | 
  
   저탕식 
                        탕비기의
  오버플로우에서 온수가 나와 멈추지 않는다. 
   | 
  
   ·볼탭에
  먼지나 이끼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 청소한다. 
   | 
  
 
  | 
   저탕식
  탕비기의 온수온도가 올라가지 않는다. 
   | 
  
   ·온도조절기의
  설정이 여의치 않은 경우, 메인밸브가 90∼93℃ 에서 멈추도록 온도다이얼을 조정한다. 
   | 
  
 
  | 
   저탕식 탕비기의 버너의 불이 붉게 또는 파랗게 날 듯이 탄다. 
   | 
  
   ·불꽃이
  빨간색일 때는 공기량이 적은 경우이므로 버너의 공기량을 조정한다.  
   | 
  
 
  | 
   ·불완전연소가
  되어 있지 않은지, 실내의 환기를 확인한다 
   | 
  
 
  | 
   ·불꽃이
  파란색일 때는  공기량이 많기 때문에 버너의 공기량을 줄인다. 
   | 
  
 
  | 
   배수통기 
   | 
  
   오수, 잡배수변에서 냄새가 난다. 
   | 
  
   ·철제뚜껑과  뚜껑을  씌운 변과의 사이에 이물질 또는 모래가 들어가 있는 경우, 솔 등으로 청소한다. 
   | 
  
 
  | 
   배수관에서
  냄새가 난다. 
   | 
  
   ·트랩의
  봉수가 끊겨 있다든지, 세정수가 없어서 오수가 트랩에 남아 있는 경우, 물을 흘려보낸다. 
   | 
  
 
  | 
   정화조 
   | 
  
   정화조에서
  냄새가 난다든지, 배수에 극단의 색이 나타나있다. 
   | 
  
   ·박테리아의  정화능력이 부족한  경우, 산기장치,  각 반장치를 점검하고, 전문업자에게 연락한다. 
   | 
  
 
  | 
   정화조로부터의 배수에 오물의 찌꺼기나 나온다. 
   | 
  
   ·변기를
  청소할 때에 염산 등의 약품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 중지한다. 
   | 
  
 
  | 
   ·침전실에
  스캄이 괴어 넘치는 경우 청소하여 제거한다. 
   | 
  
 
                 
              
              (2)공조·환기설비 
              
                
 
  | 
   항  목 
   | 
  
   고 장 상 태 
   | 
  
   응 급 대 책 
   | 
  
 
  | 
   보일러 
                        , 
                          
     버너 
   | 
  
   일반사항에
  대한 기재 
   | 
  
   ·상황, 대책의 상세에 대해서는 설치중인 기기의 취급설명서에 따라 처리한다. 
   | 
  
 
  | 
   스위치를
  켜도 버너모터가 돌지 않는다. 
   | 
  
   ·전원스위치의
  퓨즈를 확인, 끊어져 있을 때는 교체한다. 
  ·보일러
  보안장치(온도스위치, 입력스위치, 저수위차단기,  지진감지기 등) 를  점검, 작동을  
                        확인한 후 복구시킨다. 
  ·버너
  비점화표시 등, 제어반 관계를 점검, 복구시킨다. 
   | 
  
 
  | 
   버너는 회전하는데 기름이 나오지 않는다. 
   | 
  
   ·기름배관의
  밸브열림정도의 확인 및 오일스트레너의 막힘상태를 점검하여 청소한다. 
   | 
  
 
  | 
   버너가
  회전하고 기름은 나오는데 점화가 안된다. 
    
   | 
  
   ·점화밸브에
  카본접착의 유무를 확인, 불순물을 제거한다. 
  ·점화밸브의
  간극불량은 정상적인 위치로 수정한다. 
  ·점화트랜스의
  불량시, 트랜스를 교체한다. 
   | 
  
 
  | 
   점화하여
  연소하지만 연소가 연속되지 못한다. 
   | 
  
   ·불꽃검출기를
  점검, 오염, 설치방향의 불량 등을 고친다. 
  ·기름에
  수분혼입을 점검하고, 서비스탱크안의 물을 뺀다. 
  ·연소용의
  공기량을 조정한다. 
   | 
  
 
  | 
   점화시에
  백파이어(back-fire)를 한다. 
   | 
  
   ·점화밸브를
  점검하여 정상화시킨다. 
  ·노즐튜브를
  점검하여 청소한다. 
  ·배연댐퍼의
  열림정도, 연돌의 통기력을 확인한다. 
  ·오일전자밸브의
  불량여부를 점검한다. 
   | 
  
 
  | 
   운전중에 버너가 갑자기 정지하거나 이상표시 램프가 점등된다. 
   | 
  
   ·보안장치(저수위 차단기, 온도조절기, 지진감지기 등)의 작동은 원인을 확인한후에 처치하여 복구시킨다. 
  ·버너의
  비점화  
   불꽃검출기의 오염, 설치방향의 불량, 열화상태를 점검하여
  정상화시킨다. 
   | 
  
 
  | 
   운전개시후에
  풀림밸브로 인해 온수가 나오거나 수고계(水高計)가 이상치(異常値)를 가리킨다. 
   | 
  
   ·동절기에
   팽창관이  동결하는 경우가 있으며, 운전개시후에 온수를 뿜어내므로 얼음이 녹은후에 운전을 재개한다. 
   | 
  
 
  | 
   배연농도계에서
  경보가 발생한다. 
   | 
  
   ·버너의
  불완전연소로 매연이 발생하게 된 경우는, 노즐을 청소하고 버너를 조정한다. 
  ·농도계의
  투광기, 수광기의 유리면을 정기적으로 청소하고 0점 조정을 한다. 
   | 
  
 
  | 
    패키지형 
   공조기 
   (냉전형) 
   계통 
   | 
  
   기동형
  누름버튼스위치를 눌러도 송풍기,  냉동기가
  작동하지 않는다. 
   | 
  
   ·전원스위치의 ON 및 퓨즈의 단선을 점검하여 대처한다. 
  ·수냉식일
  경우, 냉각수펌프, 냉각탑의 운전을 확인한다. 
  ·압력개폐기(고압, 저압스위치)의 보호개폐기의 작동을  확인하여 복구시킨다(리셋 버튼을 누른다) 
   | 
  
 
  | 
   운전해도
  압축기가 곧바로 정지한다. 
   | 
  
   ·냉각수의
  수량을 확인하고, 적을때는 냉각탑의 스트레너의 청소 및 펌프의 운전상태를 확인한다. 
  ·냉각탑의
  송풍기가 회전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응축기가
  오염되어 있을 경우는 전문업자에게 청소를 의뢰한다. 
  ·냉매가스의
  부족은 전문업자에게 의뢰하여 가스를 보충한다. 
   | 
  
 
  | 
   압축기는 작동하는데도 냉방효과가 없다. 
   | 
  
   ·공기의
  흡출량을 조절한다. 송풍기의 벨트풀림을 조정. 
  ·에어필터의
  점검, 청소를 한다. 
  ·냉매가스가
  부족할때 전문업자에게 의뢰하여 보충한다. 
  ·환기용
  외기량이 적절한지를 조사하여 댐퍼를 조정한다. 
  ·공기의
  흡출방향이 적당치 않을 때는 날개를 조절한다. 
   | 
  
 
 
  | 
   패키지형 
                        공조기 
   계통 
   | 
  
   난방의
  효과가 없다 
   | 
  
   ·온수(증기)보일러의 운전을 확인한다. 
  ·서모스터트와
  조절밸브의 작동을 확인한다. 
  ·증기히터의
  온도퓨즈의 단선(斷線)을 확인한다. 
   | 
  
 
  | 
   가습(加濕)이 안된다. 
   | 
  
   ·가습기를
  청소한다. 
  ·습도조절기를
  조정하고 가습기의 작동을 확인한다. 
   | 
  
 
  | 
    공기열원 
  히트펌프 
   | 
  
   운전이
  안된다. 
   | 
  
   ·전원스위치 ON의 확인 및 보호개폐기의 리셋을 한다. 
   | 
  
 
  | 
   운전해도
  곧바로 정지한다 
   | 
  
   ·옥외
  유니트 송풍기의 운전상태를 확인한다. 
  ·옥외 유니트의 통풍을 방해하고 있는 장해물을 제거한다. 
   | 
  
 
  | 
   냉방(난방)이 안된다 
   | 
  
   ·냉방, 난방 전환스위치를 교체한다 
  ·필터를
  청소한다. 
   | 
  
 
  | 
   냉각탑 
   | 
  
   하부수조의
  수위가 저하한다. 
   | 
  
   ·볼탭을
  점검하여 고장인 경우는 수리 또는 교체한다. 
  ·냉각수펌프의
  순환수량을 조정한다. 
   | 
  
 
  | 
   냉각수의
  온도가 이상하게 상승한다. 
   | 
  
   ·냉각탑의
  송풍기 및 펌프의 운전여부를 확인한다. 
  ·순환수량이
  감소했을 때는 스트레너를 청소한다. 
   | 
  
 
  | 
   수조에서
  물이 넘쳐난다. 
   | 
  
   ·볼탭이
  고장났을 때는 밸브받침대를 청소하거나 교체해 준다. 
   | 
  
 
  | 
   공기조화기 
  (Air handing  
      Unit) 
   | 
  
   송풍기의
  전동기가 운전되지 않는다. 
   | 
  
   ·전원스위치의  ON 및  퓨즈의 단선여부를 확인하여 대처한다. 
   | 
  
 
  | 
   흡출구에서
  바람이 안나온다. 
   | 
  
   ·송풍기가
  회전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덕트경로의
  댐퍼(VD, FD등)의 열림정도를 확인한다. 
   | 
  
 
  | 
   풍량이
  적다(전류치가 감소) 
   | 
  
   ·공조기의
  에어필터를 점검하고, 오염된 필터를 청소하거나 교체한다. 
  ·송풍기
  및 히터, 쿨러(cooler)핀의 오염부분을 청소한다. 
  ·송풍기 V벨트가 늘어나서 헐거워진 경우에는 전동기의 베스로 조 
   절하고 V벨트를 잡아당겨서 바로잡는다. 
   | 
  
 
  | 
   바람은
  나오지만 냉방효과가 좋지 않다. 
   | 
  
   ·서모스터트와
  조절밸브의 작동을 점검하여 조절한다. 
  ·칠러(보일러) 및 순환펌프의 운전상태(수온ㆍ수량)를 점검하여 조정한다. 
  ·환기구(리턴그릴, 도어갤러리) 등을 점검하여 환기를 방해하는 장애물이 있으면 제거한다. 
   | 
  
 
  | 
   실내
  온도분포에 차이가 있다. 
   | 
  
   ·흡출구
  공기의 흡출방향을 조절한다. 
   냉방은 천정을 따라가도록, 난방은 하향으로 흡출하도록
  한다. 
   | 
  
 
  | 
   가습이 안된다. 
   | 
  
   ·가습노즐을
  점검하여, 막힘ㆍ오염부위는 청소한다. 
  ·가습용
  급수밸브, 전자밸브의 열림정도를 점검하고 밸브를 열거나 분무상태를 조절한다. 
  ·휴미디스터트와
  가습기의 작동상태를 조절한다. 
  ·정기적으로
  증발잔유물을 청소해준다. 
  ·가습기의
  고장은 제조업자에게 의뢰하여 수리 또는 교체를 한다. 
   | 
  
 
  | 
   이상음이 발생한다. 
   | 
  
   ·송풍기의
  축받이가 손상되어 있는 경우는 전문업자에게 의뢰한다. 
   | 
  
 
  | 
   자동권상형 
  필터 
   | 
  
   운전중
  차압계의 바늘이 크게 움직인다. 
   | 
  
   ·필터의
  교체가 늦어지고 있으므로, 오염을 확인하여 권취용 타임을 조절한다. 
   | 
  
 
  | 
   권상 노재의 오염이 없다. 
   | 
  
   ·필터의 권취가 빨라지는 수가 있으므로 권취용 타임을 조절한다. 
   | 
  
 
  | 
   팬코일유니트 
   | 
  
   실내의
  냉난방 효율이 없다. 
   | 
  
   ·흡출된
  공기의 확인과 풍량을 조절(강-중-약)한다. 
  ·팬코일
  밸브의 열린 정도를 확인한다. 
  ·공기순환을
  저해하고 있는 장애물이 있으면 제거한다. 
  ·팬코일유니트의
  코일안에 차있는 공기(air)빼기를 한다. 
  ·필터의 청소, 세척을 한다. 
   | 
  
 
  | 
   케이싱을 통해 물이 샌다. 
   | 
  
   ·드랜펀이
  막혔으면 청소를 한다 
  ·공기빼기에서의 누수 및 드랜호스의 빠짐을 바로 잡음 
   | 
  
 
  | 
   콘펙터 
  패스포드히터 
   | 
  
   실내의 냉난방 효율이 낮다. 
   | 
  
   ·기내에
  잔류한  공기를 공기빼기밸브를 통해서 뺀다. 
  ·공기순환을
  방해하는 장애물을 제거한다. 
   | 
  
 
 
  | 
   송풍기 
  배풍기 
   | 
  
   스위치를
  켜도 작동이 안됨 
   | 
  
   ·전원스위치의 ON  및 퓨즈의 단속을 확인하여 대처한다. 
  ·전동기의
  손상처리는 전문업자에게 의뢰한다. 
   | 
  
 
  | 
   풍량이
  적다. 
   | 
  
   ·V벨트의 장력상태를 점검, 조절한다. 
  ·송풍기내부를
  점검하여 오염부위를 청소한다. 
  ·에어필터, 그리스필터를 점검하고 청소한다. 
   | 
  
 
  | 
   펌프류 
  (냉온수펌프) 
  (냉각수펌프) 
   | 
  
   펌프가
  작동하지 않는다. 
   | 
  
   ·전원상태를
  확인하고 스위치를 켠다. 
   | 
  
 
  | 
   운전을
  해도 양수가 안된다. 
   | 
  
   ·유도수를
  충분하게 주입한다. 
  ·풋 밸브에서 물이 샌다. 밸브에 부착한 녹을 청소하거나 밸브를 교체한다. 
   | 
  
 
  | 
   규정압력
  및 수량에 못미침 
   | 
  
   ·배관계통의
  기기ㆍ장치에 있는 스트레너의 오염을 청소한다. 
  ·배관계통의
  공기빼기를 한다. 
   | 
  
 
  | 
   배관 
  기름배관 
   | 
  
   물이
  새어서 천정이 물로 젖어있다. 
   | 
  
   ·원인을
  조사해서 누수개소에 대한 수리를 보수업자에게 의뢰한다. 
  ·배관에서의
  물이 새는 것외에 결로로 인해 누수가 될 수 있으며, 보온과 방로를 보수한다. 
   | 
  
 
  | 
   배관에서
  기름이 샌다. 
   | 
  
   ·메인밸브를
  닫고, 보수업자에게 수리를 의뢰한다. 
   | 
  
 
  | 
   풍도 
                        (덕트) 
   | 
  
   흡출구를
  통한 바람유출이 적다. 
   | 
  
   ·흡출구
  셧터 또는 VAV유니트를 조절한다. 
  ·덕트계통의
  댐퍼의 열림정도를 확인한다. 방화댐퍼의 퓨즈가 끊어진 경우는 업자에게 맡겨서 교체한다. 
   | 
  
 
  | 
   흡입풍량이
  적다. 
   | 
  
   ·흡입구가
  먼지로 막혀있다. 
  ·흡입구
  셧터의 열림정도를 확인한다. 
  ·댐퍼류의
  열림정도를 확인한다. 
   | 
  
 
  | 
   흡입구 
  환기구 
  배기후드 
   | 
  
   바람끊는
  소리가 난다 
   | 
  
   ·흡출구의
  셧터를 닫을 때에 소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셔-터의 열림정도를 조정한다. 
   | 
  
 
  | 
   실내장소보다
  온도차가 크다 
   | 
  
   ·기류의
  방향이 나쁠 수가 있으므로, 흡출방향을 조정한다. 
  ·냉방시에는
  천정을 따라 불도록, 난방시에는 하향으로 불도록 한다. 
   | 
  
 
  | 
   공기를
  빨아들이지 못한다 
   | 
  
   ·덕트의
  방화댐퍼를 점검하여, 온도퓨즈가 끊어져 있는 경우는 이를 교체한다. 
   | 
  
 
  | 
   공기의
  흡입이 없다 
   | 
  
   ·그리스
  필터 기름의 오염·막힘은 빼내서  중성세제로
  세척한다.  오염정도가 심하면 세척이 곤란해진다. 
  ·배풍기가
   기름때의  부착으로 오염되면 배기량이 감소하게 되므로 정기적으로 청소한다. 
  ·방화댐퍼를
   점검하여 온도퓨즈가 끊어져 있는 경우에는 교체한다. 
   | 
  
 
                 
              
              ㈜ 아무리해도 응급대책이 곤란한 고장은 전문업차에게 상담을 구하거나 
            의뢰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