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Ⅲ 편  집합건축물 유지관리 매뉴얼
    
        | 제 Ⅲ 편  집합건축물 유지관리 매뉴얼 4. 최적 보수ㆍ보강 기법 4.3 하자부위별  보강재료 및 보강공법의 선정 4.3.1. 보강의 공법별 분류 
 
                 
	| 분 류 | 단면증대공법 | 보강재 부착공법 | 보강부재 신설공법 |  
	| 보강방법 | •요구단면적 규격에 맞춘 형틀을 제작하여 콘크리트 등을 타설. •형틀 제작 후 고유동성 보강재(무수축몰탈, 에폭시 등)를 주입 또는 그라우팅하여 단면을 확장하는 방법. •형틀제작 없이 외부에서 보강재를  뿜어 붙여 단면을 증대하는 방법. | •인장응력작용부위에 보강재를 부착하는 방법. •기둥 등 구속효과가 요구되는 부위에 보강재를 완전 폐쇄형으로 감싸서 부착하는 방법. | •작용하중을 분담할 수 있는 추가부재를 설치하는 보강방법.  (추가 보강부재에 하중전이) |  
	| 보강목적 | •휨내력 증대 •전단내력 증대 •축내력 증대  •강성 증대 | •휨내력 증대 •강판 등 압축저항이 가능한 보강재를 부착할 경우 축하중에 대한 내력 증대 •섬유 보강재와 같이 일방향 저항 보강재의 경우 구속력에 의한 축하중 내력 증대. | •하중작용부에 새로운 지점을 생성하여 작용되는 하중의 일부를 신규부재로 전이. •작용하는 하중을 추가부재에 분담시킴으로써 보강되지 않는 기존 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을 저감시킴. |  
	| 개 념 도 | 
 |   | 
 |  4.3.2. 보강의 재료별 분류 
 
                 
	| 분 류 | 철강재료 | 합성섬유 | 무기계 재료 (폴리머 시멘트 등) | 유기계 재료 (에폭시 몰탈 등) |  
	| 특 징 | •자중이 커서 운반 및 시공이 어려움. •강재에 고정용 앵커시공 시 소음이 심함. •내화피복이 필요.  •형강, 판재 형태. | •자중이 가볍고 시공이 비교적 쉬움. •빠르고 안정적인 보강효과. •화재에 불리. •탄소섬유, 유리섬유, 아라미드섬유 등. | •시멘트와 폴리머 재료의 복합 재료. •수화과정에서 단단한 복합체를 형성.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에 적합. •덧바르기 시 한 번에 두껍게 바를 수 없음. •그라우팅, 덧바르기, 뿜어 붙이기 등. | •비교적 경량이고 강도 및  접착성이 높음. •폴리머계에 비하여 성능이  우수. •경화속도가 빠르므로 공사  기간을 단축. •고온에서 변형되기 쉬움. •자재비 고가. |  
	| 보 강 효 과 | •휨내력, 전단내력, 축내력,  강성 등 모든 구조하중 증대효과 | •인장응력이 작용하는 부위  •축내력 중 구속효과가 요구되는 부위 | •높은 강도 •염분의 차단 •중성화억제 | •주로 보수재로 이용됨 •보강재의 접착성 높임 •보강재의 보강효과 증대 |  
	| 보 강 자 재 | 
 | 
 | 
 | 
 |  4.3.3. 하자부위별 보강기법 가. 기초보강 
 
                 
	| 보강종류 | 지반보강 | 기초확장 |  
	| 기초판 크기 확장 | 기초판 두께 확장 |  
	| 보강개요 | •기초를 받치고 있는 지반이 부실하거나, 더욱 높은 지내력이 요구될때 주로 적용하는 공법 •밀실하지 못한 지반에 고유동 보강재를 침투?충진하는 방법, 고압의 보강몰탈로 주변의 토사를 압밀하는 방법, 강한 지반까지 하중을 전달할 수 있는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 | •지반보강이 어렵거나, 충분한 지내력임에도 불구하고 기초에 손상이 발생할 정도의 추가 하중이 발생한 구조물에 주로 적용. •기초지판의 면적을 넓혀 상부에서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방법. | •매트형 기초, 또는 현장 상황이 열악하여 지반보강, 기초판 크기 확장이 어려운 기초구조물에 적용 •기초판의 유효춤을 키워 기초판의 내력을 증진시키는 방법. |  
	| 보강특징 | •지내력부족 지반에 직접 적용 •기초판과 지반사이의 토사불량 •밀크시멘트 충진, 압밀 보강. •시공비 저가 | •하중증가로 인한 지내력부족 •기초내력부족 •신설부재철근 기존구체에 매립 •시공비 고가 | •기존기초내력부족 •최대 허용모멘트 증대 효과 •최하층 바닥레벨 상승 •신설부재철근 기존구체에 매립 •시공비 고가 |  
	| 시공순서도 |   |   |   |   |   |   |   |   |   |  
	|   | 보강위치 확인(철근비파괴 탐사) |   |   | 보강대상 기둥 확인 |   |   | 보강위치 확인 |   |  
	|   | ?? |   |   | ?? |   |   | ?? |   |  
	|   | 기초철근을 피하여 주입천공구 신설 |   |   | 시공용 작업구 신설 |   |   | 기초바닥 바탕처리(치핑 등 요철처리) |   |  
	|   | ?? |   |   | ?? |   |   | ?? |   |  
	|   | 고유동 보강약액 주입(고압/저압) |   |   | 기초 측면 바탕처리(치핑등 요철처리) |   |   | 신설부재 연결 및 전단보강용 앵커 신설(철근 앵커링, 볼트 앵커링) |   |  
	|   | ?? |   |   | ?? |   |   | ?? |   |  
	|   | 보강재 경화후 천공구 메우기 |   |   | 신설부재 연결 및 전단보강용 앵커 신설(철근, 볼트 앵커링 등 ) |   |   | 철근배근 또는 형강 배치 |   |  
	|   | ?? |   |   | ?? |   |   | ?? |   |  
	|   | 보강 위치 마감 |   |   | 기초판 확장 부재 신설 |   |   | 소요높이까지 콘크리트 타설. |   |  
	|   |   |   |   | ?? |   |   | ?? |   |  
	|   |   |   |   | 신설부재 양생 후 작업구 원상복구 |   |   | 보강위치 마감. |   |  
	|   |   |   |   | ?? |   |   |   |   |  
	|   |   |   |   | 보강위치 마감. |   |   |   |   |  
	|   |   |   |   |   |   |   |   |   |  
 
                 
	| 현장적용 사례 | 
 | 
 | 
 |  
	| 
 |   | 
 |  
	| 보강특징 |  •00개발㈜ 중계동00빌딩 신축공사 중 보수?보강공사    •00건설㈜ 김포 00 아파트 신축공사 중 보수?보강공사    •00건설㈜ 대전 00대학교 00관 증축공사 중 지반보강공사 |  •00개발㈜ 중계동00빌딩 신축공사 중 보수?보강공사    •00건설㈜ 부산서면 00아파트 신축공사 중 보수?보강공사 |  •00개발㈜ 중계동00빌딩 신축공사 중 보수?보강공사    •00산업개발 동대문 00패션상가 리모델링 중 보수?보강공사 |  나. 기둥보강 
 
                 
	| 보강종류 | 섬유보강 | 강판보강 | 기둥단면증대 |  
	| 보강개요 | • 30%이내 내력부족 시 적용 • 낮은 자중으로 안정적이고 빠른 시공가능하며 보강대상 부재에 자재에 의한 추가하중이 거의 없슴. • 기술신뢰성 높음 • 기존단면유지 • 폐쇄형보강 원칙(Confinement) • 철근비 증대로 취성 커질 우려가 있슴. • 내화성능이 낮음. | • 20~40%이내 내력부족 시 적용 • 고중량강판 사용시 시공난이도 증가 • 마감재 시공어려움-미관상문제 • 폐쇄형보강 원칙(Confinement) • 강판6mm이내의 보강이 적절함.  • 철근비 증대로 취성 커질 우려가 있슴. • 내화성능이 낮음. | • 40%이상내력부족 시에도 가능. • 보강 신뢰도 높음 • 단면증대에 따른 실제 사용할 수 있는 면적이 줄어 공간활용도가 낮아짐. • 보강재료에 따라 성능 크게 좌우됨. • 시공난이도가 높아 소요공기가 길다. • 철근비에 구애받지 않음. • 높은 내화성능 발휘. |  
	| 시공순서도 |   |   |   |   |   |   |   |   |   |  
	|   | 보강대상 부재 확인 |   |   | 보강대상 부재 확인 |   |   | 보강대상 부재 확인 |   |  
	|   | ?? |   |   | ?? |   |   | ?? |   |  
	|   | 보강방해물(마감재 등)제거 |   |   | 보강방해물(마감재 등)제거 |   |   | 보강방해물(마감재 등)제거 |   |  
	|   | ?? |   |   | ?? |   |   | ?? |   |  
	|   | 바탕처리(그라인딩 등) |   |   | 바탕처리(그라인딩 등) |   |   | 바탕처리(치핑 등 요철처리) |   |  
	|   | ?? |   |   | ?? |   |   | ?? |   |  
	|   | 면처리용 약액 도포(에폭시 프라이머 등) |   |   | 기존부재의 철근을 피하여 보강재 부착용 앵커홀 천공 |   |   | 신설부재 연결 및 전단보강용 앵커 신설(철근 앵커링, 볼트 앵커링) |   |  
	|   | ?? |   |   | ?? |   |   | ?? |   |  
	|   | 면처리 약액 경화 후 보강섬유 접착제 도포 (에폭시 레진 등) |   |   | 보강부재(폐쇄형 보강원칙) 설치 |   |   | 철근배근 또는 형강 배치 |   |  
	|   | ?? |   |   | ?? |   |   | ?? |   |  
	|   | 보강섬유 부착(폐쇄형 부착-겹침확보) |   |   | 보강재 설치용 앵커 조립 |   |   | 신구접착제 도포 |   |  
	|   | ?? |   |   | ?? |   |   | ?? |   |  
	|   | 보강섬유 함침용 약액도포        (에폭시 레진 등) |   |   | 기존부재와 보강부재의 일체화를 위한 보강재 주입(에폭시 주입재 등) |   |   | 형틀 제작?설치 |   |  
	|   |   |   |   | ?? |   |   | ?? |   |  
	|   |   |   |   | 녹막이 및 마감도장. |   |   | 보강재(콘크리트, 무수축몰탈 등) 타설 |   |  
	|   |   |   |   |   |   |   | ?? |   |  
	|   |   |   |   |   |   |   | 양생 후 보강위치 마감 |   |  
	|   |   |   |   |   |   |   |   |   |  
 
                 
	| 현장 적용 사례 | 보 강 공 사 전 | 
 | 
 |   
 |  
	| 보 강 공 사 후 | 
 | 
 | 
 |  
	| 시공사례 | • 00개발㈜ 중계동00빌딩 신축공사 중 보수?보강공사 •  00건설㈜ 00학술정보원 리모델링공사 • 00건설㈜ 00숲 조성공사 DC-84공구 보수?보강공사 • 00건설㈜ 00맨션 리모델링 공사 중 보수?보강 공사 • ㈜00건설 부산서면 00프라자 건설공사  | • 00개발㈜ 중계동00빌딩 신축공사 중 보수?보강공사 • 00건설㈜ 00맨션 리모델링 공사 중  보수?보강 공사 | • 00건설㈜ 00맨션 리모델링 공사 중  보수?보강 공사 • 00건설㈜ 부산서면 00아파트 신축공사 중 보수?보강공사 |  다. 보 및 슬래브보강 
 
                 
	| 보강종류 | 섬유보강 | 강판보강 | 보 단면증대 |  
	| 보강개요 | • 30%이내 내력부족 시 적용 • 낮은 자중으로 안정적이고 빠른 시공가능하며 보강대상 부재에 자재에 의한 추가하중이 거의 없슴. • 기술신뢰성 높음 • 기존단면유지 • 인장하중 작용부.전단하중 작용부 보강 원칙→압축하중 작용부에는 적용불가 • 철근비 증대로 취성 커질 우려가 있슴. • 내화성능이 낮음. | • 20~40%이내 내력부족 시 적용 • 상향작업이 주된 공사이므로 고중량강판 사용 시 시공난이도 증가. • 마감재 시공어려움-미관상문제 •인장부, 전단부, 압축하중 작용부에도  적용가능. • 강판6mm이내의 보강이 적절함.  • 철근비 증대로 취성 커질 우려가 있슴. • 내화성능이 낮음. | • 30%이상내력부족 시에도 적용 가능 • 슬래브로 상부면이 차단되어 보의 4면 보강이 곤란 • 자체 면적 증가로 실층고가 낮아짐 • 내화성 우수 • 철근비에 구애받지 않음 |  
	| 현장 적용  사례 | 보 강 공 사 전 | 
 | 
 | 
 |  
	| 보 강 공 사 후 | 
 | 
 | 
 |  라. 벽체보강 
 
                 
	| 보강종류 | 섬유보강 | 철판보강 | 단면증대 |  
	| 보강개요 | • 30%이내 내력부족 시 적용 • 낮은 자중으로 안정적이고 빠른 시공가능하며 보강대상 부재에 자재에 의한 추가하중이 거의 없슴. • 기술신뢰성 높음 •보강재의 두께가 얇아 기존단면유지   가능 • 철근비 증대로 취성 커질  우려가 있슴. • 내화성능이 낮음. | • 20~40%이내 내력부족 시 적용 • 고중량강판 사용 시 시공난이도  증가 • 마감재 시공어려움-미관상문제 • 강판6mm이내의 보강이 적절함.  • 철근비 증대로 취성 커질 우려가  있슴. • 내화성능이 낮음. | • 40%이상내력부족 시에도 가능. • 보강 신뢰도 높음 • 단면증대에 따른 실제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 줄어 공간활용도가  낮아짐. • 보강재료에 따라 성능 크게 좌 우됨. • 시공난이도가 높아 소요공기가  길다. • 철근비에 구애받지 않음. • 높은 내화성능 발휘. |  
	| 현장 적용  사례 | 보 강 공 사 전 | 
 | 
 | 
 |  
	| 보 강 공 사 후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