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홈페이지는 무료회원가입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rev 2024. 06 nex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하자 여부 판정기준

 

제정 : 위원회 기준 제01(2011.11.17)

개정 : 위원회 기준 제03(2012.02.16)

 

1(목적) 이 기준은 주택법46조의22항제1호 및 같은 법 시행령 제62조의22항제2호에 따라 공동주택과 그 부대시설 및 복리시설에 대한 하자 여부 판정을 객관적이고 공정하며 합리적으로 판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판정용어) 하자 여부 판정에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하자 : 심사결과 주택법 시행령별표6과 별표 7에 따른 하자담보책임기간에 발생한 하자로써 사업주체의 하자보수책임이 인정되는 경우

2. 하자아님 : 심사결과 하자담보책임기간에 발생한 하자이나, 관리부주의 또는 사용상 과실 등으로 인하여 사업주체에 하자보수책임이 인정되지 아니한 경우

3. 심사대상 아님 : 다음 각목과 같이 하자보수 청구권이 소멸된 경우

. 하자담보책임기간을 도과하여 발생한 경우

. 하자담보책임기간에 하자보수를 청구하지 아니한 경우

. 하자담보책임기간에 하자보수를 청구하였으나 소멸시효가 완성된 경우

4. 각하 : 하자심사 요건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다음 각목의 경우

. 사업주체가 공동주택을 건축하여 분양한 시설 등이 아닌 것이 명백한 경우

. 당사자 부적격에 해당하는 경우

. 하자내용이 없는 경우

. 공동주택 또는 주택법16조에 따라 사업계획승인을 받은 20호 이상의 단독주택 중 어느 하나에도 해당하지 아니하는 건축물

. 신청인 등이 사실조사자료제출 및 하자심사 업무에 협조하지 아니하여 하자심사가 곤란한 경우

. 그 밖에 가목부터 마목까지의 경우와 유사한 경우

<본조신설 2010.2.16>

 

3(하자구분) 주택법 시행령별표 6 1호에 따른 공사상의 잘못으로 인한 하자의 범위는 다음 각 호와 같이 구분한다.

1. 시공 하자 : 주택법22조에 따른 설계도서 작성기준과 해당 설계도서에 따른 시공기준에 따라 공동주택의 내력구조별 또는 시설공사별(80가지 공종)구분되는 어느 공종의 전체가 시공되지 아니하여 그 건축물 또는 시설물의 안전상기능상 또는 미관상의 지장을 초래할 정도(程度)의 하자

2. 누락시공 하자 : 수개의 작업으로 구성되어 있는 어떠한 공종 내에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작업을 누락하고 시공하여 그 건축물 또는 시설물의 안전상기능상 또는 미관상의 지장을 초래할 정도(程度)의 하자

3. 변경시공 하자 : 건축물 또는 시설물(설치시공하는 제품을 포함한다)설계도서명기된 규격성능 및 재질에 미달하거나 다른 것으로 시공되었거나 또는 끝마무리의 부족으로 불완전한 상태로 시공하여 건축물 또는 시설물의 안전상기능상 또는 미관상의 지장을 초래할 정도(程度)의 하자. 이 경우 설계도서에 명기된 제품 등과 같은 질 이상으로 설치시공한 것과 제품 등의 성능을 개선하여 설치시공한 것은 하자가 아닌 것으로 본다.

4. 기타 하자 : 사용검사받은 설계도면대로 시공하였으나 내구성내마모성 및 강도 등의 부족으로 하자담보책임기간에 같은 령 별표 6 2호에 따른 현상(균열침하파손 등)이 발생하여 건축물 또는 시설물의 안전상기능상 또는 미관상의 지장을 초래할 정도(程度)의 하자

<본조신설 2010.2.16>

 

4(균열하자 판정기준) 철근콘크리트공사 및 내력구조부에서 발생하는 균열하자의 판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구 분

판정기준

비 고

1. 철근콘크리트공사

균열폭 0.2이상(미관상 균열포함)

주택법시행령 별표6

2. 내력구조부

건조환경: 0.4이상과 0.006Cc 중 큰 값

습윤환경: 0.3이상과 0.005Cc 중 큰 값

누수 균열(누수를 수반하는 모든 균열)

주택법시행령 별표7

*내력구조부의 안전상구조상에 지장을 초래하는 하자

<개정 2010.2.16 종전 제2조에서 조문이동>

 

5(층간시공이음부위의 균열) 내력구조부의 층간 시공이음부위(Construction-Joint)에서 발생한 균열(철근 비노출 또는 녹물이 없는 상태로 안정상구조상 지장을 초래할 경우가 아닌 경우에 한한다)은 철근콘크리트공사로써 하자담보책임기간은 4(2007.3.16. 전에 사업계획승인을 받은 공동주택은 3)으로 적용한다. <본조신설 2010.2.16>

 

6(결로하자 판정기준) 결로하자는 주택법시행령별표 6에 따른 단열공사의 하자로 보되, 판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구 분

판정기준

비 고

1. 세대벽체

벽체단열의 설계시공기준 만족여부

곰팡이, 얼룩, 결로수 등이 발생하였거나 확인된 경우

2. 세대창호

창호단열의 설계시공기준 만족여부

3. 지하거실벽체

벽체단열의 설계시공기준 만족여부

<개정 2010.2.16 종전 제3조에서 조문이동>

 

 

부칙(2011.11.17)

 

이 기준은 20111118일부터 시행한다.

 

 

부칙(2012.2.16)

 

이 기준은 2012217일부터 시행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아파트관리소사람들이 리뉴얼 되었습니다. 2020-12-29 14100
공지 국내생산 원데이 마스크 판매합니다. - 아파트별 대량 구매가능 file 2020-09-17 13516
공지 글 쓰기는 무료회원 가입 후 글쓰기 하실 수 있습니다 [2] [7] 2007-03-18 34448
333 아파트 관리비 부가세 부과, 일대 혼란 일 듯 2003-04-10 2218
332 아파트 관리소장 관리비 횡령 사건 “광산구의원 개입” 의혹 [1] 2003-04-16 2604
331 아파트 저장탱크에서 가스누출 2003-04-16 1786
330 지로공과금 납부 자동화기기로...또 이 달말에는 아파트관리비를... 2003-04-16 2582
329 건물 관리업 근로자 재해 매년 증가 2003-04-16 2954
328 아파트 관리업체 변경 등에 따른 근로자 보호 위해 “근기법에 고용승계 명시해야” 2003-04-18 2598
327 아파트 분양시 화장품냉장고를 선물해보세요 2003-04-18 2069
326 공인중개사 시험 9월 21일 실시 예정? 2003-04-19 1806
325 아파트 일반관리비에 부가세 2003-04-29 2867
324 주택법(개정) 소관위원회 건설교통위 본회의 의결일 2003-04-30 file 2003-05-01 1736
323 아파트 층간소음 배상 첫 결정 2003-05-09 1859
322 주택건설기준등에관한규정중개정령 2003-05-10 1721
321 도시가스 배관을 이용한 범죄를 예방합시다. 2003-06-12 1817
320 제1회 경리관리사 자격시험 2003-06-14 1881
319 아파트 관리비 체납 세대에 대해 관리사무소에 ‘단전권’ 부여 검토 2003-06-20 2267
318 영리목적 아닌 최소의 실비만 받는 단지내 ‘헬스장’운영 불법 아니다 [1] 2003-06-20 2728
317 아파트 관리 관련서류 무단으로 들고 나온 입주자대표회장 ‘유죄’ 선고 2003-06-20 2131
316 주택법시행령개정령(안)입법예고 2003-07-22 2139
315 주택법시행규칙개정령(안)입법예고 2003-07-22 1709
314 주택법시행령별표(입법예고20030719) file 2003-07-24 1758
313 경매아파트 체납관리비 조정결정 [출처-아파트관리신문] 2003-07-28 2713
312 새아파트에 이온공기를 2003-08-01 2042
311 지하주차장 CCTV 미설치 형사처벌 검토 2003-08-07 2223
310 동창회등 개인명의 예금 사후소명 금융종합세 면제 2003-08-07 1721
309 강남일대 대낮 아파트털이 잇따라 2003-08-07 1847
308 아파트, 내년부터 ‘공기 質’ 입주자에 고지 의무화 2003-08-07 2063
307 비상통로 물건적재 자문구했더니 소방법 위반으로 아파트에 벌금 2003-08-07 6036
306 획기적인 새로운 광고 기법! 팝스파이더 출시!!! [1] 2003-08-12 2119
305 종전 관리업체 소속 관리직원 우선고용 공고했어도 "근로자 고용승계 의무없다" 2003-08-19 3152
304 서울시 "발코니 건축면적포함 재추진" 2003-08-28 25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