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 은 운동 부족이고... 자연 과 멀리 하니까 자꾸이런 병에 걸리죠.
새해엔 담배 끊고  가까운 곳에 등산이나 다닙시다. 비용 적게 들고 나이 들어도 할수 있고,
건강에 최고는 역시 등산입디다.
모임/동호회..크릭 하시고... 산악회 크릭하면... 건강과 친목.. 일자리는 보너스로 따라 옵니다.

< [국내] 빌딩징후군…사무실만 들어서면 지끈지끈 >

“머리가 지끈거리고 코도 막혀요.”빌딩 12층에서 일하는 회사원 김모씨(30·여·서울 강남구 삼성동)는 1시간만 지나면 갑자기 숨쉬기가 곤란하고, 가슴이 답답하고, 머리가 지끈지끈 아파온다. 또 온몸이 피곤해 하던 일에 더 이상 집중할 수가 없다. 퇴근하면 이런 증상은 씻은 듯이 사라지지만 회사에 출근하면 다시 나타난다.

정모씨(43·회사원·서울 영등포구 당산동)는 회사에 있을 때 피부가 붉어지며 알레르기성 비염과 눈의 충혈, 메스꺼움 등이 나타나 고생하고 있다. 이러한 증세는 실내를 벗어나면 저절로 없어진다.

김씨와 정씨는 둘 다 회사에서 증세가 생기는 것이 공통점이다. 겨울에 사무실뿐만 아니라 아파트, 지하상가, 도서관 등 환기가 잘 안 되는 밀폐된 공간에서 오랜 시간 일하는 사람 가운데 이 같은 증세를 호소하는 사람이 많다. 이를 ‘빌딩증후군(SBS)’이라고 한다.


1983년 세계보건기구(WHO)는 빌딩과 연관된 새로운 증세를 통틀어 빌딩증후군이라고 처음으로 명명했다.




▽원인과 증세〓실내 공간에서 오염된 공기에 사람들이 장시간 노출될 때 생긴다. 오염된 공기에는 먼지, 담배연기, 곰팡이, 각종 조리기구 사용시 발생하는 연소가스, 각종 건축자재에서 나오는 라돈가스,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휘발성 화학물질 등이 있다.


한양대 의대 산업의학교실 김윤신 교수가 지난해 한 건물에 생활하는 직장인 464명을 대상으로 빌딩증후군 증세를 조사한 결과 만성피로가 92%로 가장 많았다. 다음은 눈 충혈(69%) 어깨통증(68%) 현기증(64%) 기침(59%) 메스꺼움(52%) 등의 순이었다.  


대전선병원 호흡기내과 나동집 과장은 “일 때문에 장시간 빌딩이나 지하상가에 머물러 있는 사람은 기관지 천식이나 알레르기 비염 등의 호흡기 질환에 걸리거나 기존에 있는 병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예방〓환경적인 문제로 생기므로 채광이나 온도 습도 등의 근무환경을 자연 상태에 가장 가깝게 맞추는 것이 최선책이다.


2∼3시간마다 자주 실내를 환기시키고 온도를 16∼20도 정도로 약간 서늘한 상태를 유지한다. 습도는 가습기를 사용해 40∼60% 수준을 유지한다.


증세가 심한 사람은 우선 실내 구석구석에 먼지가 쌓이지 않도록 청소를 자주 한다. 이와 함께 물을 자주 마시고 틈틈이 몸 기지개를 펴는 스트레칭과 맨손체조 등 간단한 운동으로 피로를 푼다. 또 1∼2시간마다 실외 공기가 직접 통하고 채광이 잘 되는 곳에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다.


스트레스가 빌딩증후군의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스트레스가 쌓이면 그때그때 푸는 것이 좋다.

실내에 녹색식물을 기르는 것도 공기정화에 도움이 된다. 이런 식물로는 형광등에서도 잘 자라는 벤저민, 고무나무, 골든 포토스 등이 있고 햇빛이 잘 드는 곳이면 아이비나 국화, 진달래 등도 좋다.

[동아닷컴 2002. 12. 15]

   [이달의 주제]  
심혈관질환의 예방 및 영양관리  



뇌졸중, 심근경색 등의 심혈관질환은 암과 더불어 우리나라의 주요 사망원인이다. 2002년 통계청이 발표한 2001년 사망원인통계를 보면 인구 10만명 당 암이 123.5명으로 1위, 뇌졸중 등 뇌혈관질환이 73.8명으로 2위, 심장질환(허혈성 심장질환과 기타 심장질환 포함)이 34.2명으로 3위였다.

이러한 심혈관질환의 예방을 위해서는 평소 위험인자들을 잘 관리할 필요가 있다. 사망률이 높은 심혈관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은 성별, 연령 등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고정요인과 흡연, 비만 등 본인의 노력에 따라 생활습관을 바꿔 위험을 낮출 수 있는 변동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성별, 연령은 바꿀 수 없지만 생활습관은 바꿀 수 있다.

심혈관 질환 예방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기본적인 건강관리 수칙인 금연, 과음하지 않기, 균형있는 올바른 식생활, 규칙적인 운동, 표준체중 유지하기, 정기검진 등이다. 특히 심혈관 질환은 채소류와 식물성 단백질, 식물성 지방 등을 위주로 한 식이요법이 매우 도움을 줄 수 있고 튼튼한 혈관을 가지기 위해서 질 좋은 단백질과 비타민·무기질을 충분히 섭취해야 하며 콜레스테롤의 배설을 돕기 위해 섬유소가 충분한 식사를 한다.

갑자기 추워진 날씨로 생명을 다투는 뇌졸중이나 협심증, 심근경색 등 심혈관 관련 질병이 일어나기 쉬운 겨울철이다. 행사가 많은 연말에 과음을 삼가며 금연하고, 평소 담백한 한식 위주의 식사, 꾸준한 운동 등으로 건강관리에 힘써서 치명적인 심혈관 질환에 미리미리 대비하도록 한다.

문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건강증진개발센터
(담당 최은진, 최승희, ☎ 02-380-8224,
E-mail : seunghee@kihasa.re.kr)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영양정책 및 국민영양조사 분과위원장
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손숙미
(E-mail : sonsm@catholic.ac.kr)


    
   심장과 순환기의 구조와 생리


   심혈관질환의 위험요인


   주요 심혈관질환의 종류와 관리


   심혈관질환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영양관리(1)


   심혈관질환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영양관리(2)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생활 속의 운동실천


   심혈관 질환 관련 인터넷 사이트


   한국인의 주요 사망원인과 심혈관질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