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홈페이지는 무료회원가입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rev 2024. 06 nex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근로자의 날(5월 1일)은 유급휴일!!!

조회 수 3301 추천 수 3 2008.04.29 12:51:57


































제  목 근로자의 날(5월 1일)은 유급휴일!!! 구  분 기타
담당부서 노사협력정책과 전화번호 02-2110-7362
담당자 천성화 등록일 2008-04-27



      근로자의 날(5월 1일)은 '근로자의 날 제정에 관한 법률'에 따라 근로기준법에 의한 
  유급휴일로 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모든 사업장에서는 붙임 '근로자의 날 관련 근로기준법 적용지침' 내용과 같이 
  소속 근로자의 근로자의 날 휴일을 보장하여야 함을 알려드립니다.

  붙임 : 근로자의 날 관련 근로기준법 적용지침















자세한 사항은 첨부자료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첨부자료
1. 근로자의 날 관련 근로기준법 적용지침(071113).hwp 근로자의 날 관련 근로기준법 적용지침(071113).hwp

[레벨:3]운영자

2008.04.29 12:54:20
*.117.217.52

 






근로자의 날 관련 근로기준법 적용지침


(임금근로시간정책팀-3356, 2007. 11. 13)






1. 검토배경


근로자의 날(5월 1일)은「근로자의 날 제정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근로기준법에 의한 유급휴일로 하도록 규정하고 있음


 ○ 그러나, 근로자의 날에 휴일대체 및 보상휴가제가 가능한지 여부, 특히 감시ㆍ단속적 근로자에게 근로자의 날을 적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명확하지 않아 논란이 있는 바, 이에 대하여 적용지침을 마련하고자 함


2.  관련 규정 


 ○「근로자의 날 제정에 관한 법률」


    5월 1일을 근로자의 날로 하고 이날을「근로기준법」에 의한 유급휴일로 한다.


 ○「근로기준법」


  -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1주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주어야 한다.(§55)


  - 사용자는 연장근로와 야간근로 또는 휴일근로에 대하여는 통상임금의 100분의 50이상을 가산하여 지급하여야 한다.(§56)


  - 사용자는 근로자대표와의 서면 합의에 따라 제56조에 따른 연장근로ㆍ야간근로 및 휴일근로에 대하여 임금을 지급하는 것을 갈음하여 휴가를 줄 수 있다.(§57)


  - 이 장과 제5장에서 정한 근로시간, 휴게와 휴일에 관한 규정은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근로자에 대하여는 적용하지 아니한다.(§63)


    1. 토지의 경작ㆍ개간, 식물의 재식ㆍ재배ㆍ채취 사업, 그 밖의 농림사업


    2. 동물의 사육, 수산 동식물의 채포ㆍ양식사업, 그 밖의 축산, 양잠, 수산 사업


    3. 감시 또는 단속적으로 근로에 종사하는 자로서 사용자가 노동부장관의 승인을 받은 자


    4.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관리ㆍ감독업무 또는 기밀을 취급하는 업무)


3. 관련 해석


1) 근로자의 날은 유급휴일임


  - 근로자의 날은 1963년「근로자의 날 제정에 관한 법률」(법률 제1326호) 따라 한국노총의 창립일인 3월 10일을 노동절 대신 근로자의 날로 제정한 것에서 비롯되어, 1994년에는 세계적으로 5월 1일을 노동절로 기념하여 온 것에 맞추어 날짜를 5월 1일로 변경함


  - 근로자의 날 제정취지는 근로자들의 노고를 위로하고, 근무의욕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국경일에 관한 법률」또는「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서 정한 법정공휴일로 보기는 어려우나,「근로기준법」의 적용을 받는 근로자에게 부여하는 주휴일과 같이 법정휴일이므로 해당일에 근로제공이 없더라도 임금을 지급해야 함(근로기준과-2116, ‘04.4.29)


 2) 근로자의 날의 근로에 대하여는 휴일근로수당을 지급하거나 보상휴가제를 실시할 수 있음


  - 근로자의 날은 주휴일과 같이 근로자에게 적용되는 휴일이므로 해당일에 근로제공을 한 때에는「근로기준법」제56조에 따라 휴일근로수당으로 통상임금의 100분의 50 이상을 가산하여 지급하여야 함(대판 90다14089, ‘91.5.14)


  - 또한「근로기준법」제57조에서 같은법 제56조의 야간ㆍ휴일ㆍ연장근로에 대하여 보상휴가제를 실시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을 뿐 근로자의 날을 제외하고 있지 않으므로 근로자의 날의 근로에 대하여 임금을 지급하는 것을 갈음하여 휴가를 부여할 수 있음(임금근로시간정책팀-2363, ‘07.7.13)


 3) 근로자의 날은 휴일대체가 불가함


  - 근로자의 날은 법률로서 5월 1일을 특정하여 유급휴일로 정하고 있으므로 다른 날로 대체할 수 없다고 보아야 함(근기-829, ‘04.2.19)


 4) 감시ㆍ단속적 근로자 등의 적용방법


  □ 감시ㆍ단속적 근로자 등 에게도 근로자의 날은 보장됨


  ○ 감시ㆍ단속적 근로자를 포함한「근로기준법」제63조의 적용제외 근로자 제4장과 제5장에서 정한 휴일에 관한 규정은 적용되지 않음


     * 농림, 축산, 수산업 종사자, 관리 감독업무 및 기밀취급자


   - 따라서 제63조의 적용제외 근로자가 휴일에 근로를 제공한다고 하더라도 휴일근로로 보지 않음


   - 다만, 근로자의 날은「근로자의 날 제정에 관한 법률」에 의해 특정일을 기념하여 휴일로 규정하고 있으므로 제63조의 적용제외 근로자에게도 유급휴일로 보장(근기 01254-6550, ‘91.5.9)


  □ 감시ㆍ단속적 근로자 등 에게는 근로기준법상 보상휴가제는 적용되지 아니하나 당사자 합의로 실시 가능함


  「근로기준법」제63조의 적용제외 근로자 제4장과 제5장에서 정한 휴일에 관한 규정은 적용되지 않으므로


   - 제57조의 보상휴가제도는 적용되지 않는 것임. 다만, 당사자간 합의로 제도를 도입하여 운영할 수는 있음


  □ 통상 하루에 지급하는 임금을 추가 지급하여야 함


  근로기준법」제63조의 적용제외 근로자가 근로자의 날에 근로제공을 하지 않고 쉬더라도 통상 하루에 지급하는 소정임금을 추가로 지급하여야 함


    예) 1일 2교대 10시간(휴게 2시간 제외) 근무자 : 10시간분의 임금 지급


   - 단, 격일제 근무자는 근무일 다음의 휴무일(비번일)은 전일의 근무를 전제로 주어지는 것이므로, 격일제 근무자에게 지급하여야 할 통상 하루의 소정임금은 근무일의 절반에 해당하는 근로시간의 소정임금으로(임금근로시간정책팀-3961, ‘06.12.27)


    예) 24시간 격일제 근무자 : 근무일의 절반에 해당하는 12시간분의 임금 지급


  ○ 만약, 제63조 적용제외 근로자가 격일제 근무 등을 이유로 근로자의 날 당일을 쉬지 못하고 근로를 제공한 경우라도


   - 휴무자(비번자)와 동일하게 통상 하루의 소정임금을 추가로 지급하면


4. 행정사항


  ○ 이 지침과 배치되는 기존의 행정해석은 이 지침시행과 동시에 폐지함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아파트관리소사람들이 리뉴얼 되었습니다. 2020-12-29 14257
공지 국내생산 원데이 마스크 판매합니다. - 아파트별 대량 구매가능 file 2020-09-17 13683
공지 글 쓰기는 무료회원 가입 후 글쓰기 하실 수 있습니다 [2] [7] 2007-03-18 34601

주택법 일부개정법률안(대안) 국회 본회의 의결일 2007-04-02 file

  • 2007-04-04
  • 조회 수 2017

주요구조부인 칸막이벽을 해체함이 없이 가구수를 증가시킨 행위가.....대수선행위에 해당하는지?

  • 2007-11-05
  • 조회 수 2027

[공동주택 회계와 세무 실무] 를 아주 쉽게 설명한 책이 나왔어요 ~할인 file

  • 2007-04-26
  • 조회 수 2028

2008.1.1~12.31적용 최저임금(안)합의 의결 file

  • 2007-07-31
  • 조회 수 2029

아파트관리 및 하자보수공사 등을 목적으로 하는 회사가 하자보고서를 작성하는 행위가 변호사법 제109조 제1호 소정의 감정에 해당한다고 인정하기 위한 요건 file

  • 2007-09-11
  • 조회 수 2037

공동주택의 공동관리 제도개선(규칙 제23조제2항)_2006.2.24개정

  • 2006-03-13
  • 조회 수 2042

새아파트에 이온공기를

  • 2003-08-01
  • 조회 수 2048

20061107 국회제출법안(근로기준법 일부개정법률안)[1] file

  • 2006-11-30
  • 조회 수 2056

일반관리용역·경비용역에 대한 부가가치세 면세의 일몰기한을 2011년 12월 31일까지 연장하고

  • 2008-12-17
  • 조회 수 2058

공동주택 복지 및 품질기준 강화 된다 (건교부 보도자료) file

  • 2005-10-21
  • 조회 수 2059

아파트, 내년부터 ‘공기 質’ 입주자에 고지 의무화

  • 2003-08-07
  • 조회 수 2065

아파트 분양시 화장품냉장고를 선물해보세요

  • 2003-04-18
  • 조회 수 2071

승강기 사고 정신적 피해도 배상

  • 2006-08-28
  • 조회 수 2072

주택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 [공포일자 2007-03-16 시행일자 2007-03-16] file [1]

  • 2007-03-16
  • 조회 수 2073

10/8 "근로자가 자기 소유의 승용차로 출퇴근하다가 교통사고를 당한 경우 업무상 재해로 보기 어려워" <대법 전원합의체판결>

  • 2007-11-05
  • 조회 수 2073

건축법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2006.5.12, 건설교통부령 제512호) file [1]

  • 2006-07-18
  • 조회 수 2075

조세특례제한법중개정법률안 입법예고--&gt;일반관리용역.경비용역 부가세 2005년까지 file

  • 2004-09-20
  • 조회 수 2081

시설관리에도 국가표준(KS) 적용 file

  • 2006-11-23
  • 조회 수 2093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법안[국회 본회의 의결일 2006.12.22]

  • 2007-01-08
  • 조회 수 2097

응시자격 관련학과 지정 고시(최종, 06.11.23)

  • 2006-11-30
  • 조회 수 2100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시행규칙 개정 안내

  • 2006-03-29
  • 조회 수 2106

제9회 주택관리사보 자격시험 합격자 통계

  • 2007-01-03
  • 조회 수 2109

아파트수돗물로 인하여 [1]

  • 2006-09-15
  • 조회 수 2117

제10회주택관리사보자격시험시행안내 file

  • 2007-03-23
  • 조회 수 2117

엘리베이터 고장 모든 층에 고지해야

  • 2003-12-01
  • 조회 수 2120

획기적인 새로운 광고 기법! 팝스파이더 출시!!! [1]

  • 2003-08-12
  • 조회 수 2125

공동주택 16세대인데 8년이나 한가구가 세금을 안내요

  • 2002-10-08
  • 조회 수 2131

아파트 관리 관련서류 무단으로 들고 나온 입주자대표회장 ‘유죄’ 선고

  • 2003-06-20
  • 조회 수 2132

방범/방화관리자님 보세요.

  • 2003-11-17
  • 조회 수 2134

2006 에너지전시회 안내

  • 2006-09-20
  • 조회 수 2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