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홈페이지는 무료회원가입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rev 2024. 06 nex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새아파트에 이온공기를

조회 수 2040 추천 수 13 2003.08.01 10:25:06
Bio-magic?

시멘트 독성제거 및 탈취효과
아파트나 사무실에서 오랜시간 근린생활을 하는 도시민들은 이유없이 목이 아프고 기분이 나빠지는 건물증후군을 호소 하는 사람들이 늘어 가고 잇다.이는 건물이나 아파트에 쓰이는 유해자제와 시멘트에서 방출되는 유해화학물질이 원인으로 밝혀지고 있다.건축자제에서 나오는 포름알데히드는 새로 지은 집에서 알지 못할 불안감,구토,등을 느끼는 "새집병"을 발병시킨다.
바이오-매직은 새집에서 발생되는 유해성분과 시멘트 독성제거효과와 실내의 커튼, 카페트 등 합성섬유와 화학제품 계통에서 발생되는 라돈, 석면가루, 포름알데히드 등 제거하여 최고의 인체에좋은 환경을 만들어 준다.

원적외선 방사효과
바이오 매직으로 시공한 방은 원적외선 방사 강도가 강하고 상온에서 원적외선 방출량도 많아 인체의 모든 부분과 피부 깊숙히 파고들어 노폐물은 물론 혈액순환과 신진대사를 촉진시킨다.

음이온 발생효과
바이오 매직은 다량의 천연음이온 방출로 실내공기 정화효과와 음이온은 세포의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활력을 증진시키며 피를 맑게하고 신경안정과 피로회복, 식욕증진의 효과가 있어서 음이온은 공기비타민이라고도 불립니다.

시멘트 먼지 발생 억제 기능
시멘트의 미세먼지는 우리가 숨을 쉴 때 우리의 호흡기관을 통해 폐속으로 침투해서 폐의 기능을 떨어뜨리고, 여러 가지 병을 막아내는 힘인 면역기능을 떨어뜨리고, 약하게 만듭니다.
바이오 매직은 시멘트 기공을 틈새없이 채워주기 때문에 시멘트의 미세먼지 발생을 억제하고 냄새를 제거하며 실내를 맑게 해주는 시멘트 먼지 발생 억제 기능과 탈취효과가 탁월합니다.

냉, 난방 비용 절감 효과
바이오 매직은 NASA의 기술력으로 개발된 HEATSHIED-R2O™하트실드의 첨가로 고르고 빠른 열전도 복사열 발생으로 에너지를 절감시켜서 주택과 아파트의 냉, 난방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여줍니다.

향균, 항곰팜이, 방충효과
곰팡이에 의해 일어나는 질병들을 살펴보면 무좀이나 버짐, 습진과 같은 피부병과 호흡기 장애(폐렴 등)을 일으킵니다.
바이오 매직은 세균과 곰팡이류의 발생을 막아주고, 각종 벌레는 물론 유해균의 서식을 억제해주는 향균효과와 방충효과가 뛰어납니다
                                             (인증기관)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한국원적외선협회
                            
문의사항은 E-mail(ks4720@naver.com)로 보내주시면 성심껏 답변드리겠습니다
                                                            
                                              (주)매직워터
                                                       서울시 도봉구 쌍문동 388-33
                                                       (02)994-4886 / 011-497-4720  
                                                                                                                                                                                           **참조**
대기오염으로 우리는 너무나 인체에 나쁜 공기를 마시며살고 있습니다. 또한 세계인구 밀집도는 3위 얼마나 공해에 살고 있는지 삼척동자도 안다.정말로 사람에게 가장 좋은 공기를 마실수있는기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아파트관리소사람들이 리뉴얼 되었습니다. 2020-12-29 14080
공지 국내생산 원데이 마스크 판매합니다. - 아파트별 대량 구매가능 file 2020-09-17 13496
공지 글 쓰기는 무료회원 가입 후 글쓰기 하실 수 있습니다 [2] [7] 2007-03-18 34420

ㅇ 건설교통부는 집값담합 조사를 중단하기로 방침을 정한 바가 없다. file

  • 2006-09-12
  • 조회 수 2136

◎법률 제7983호_소방시설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

  • 2006-09-25
  • 조회 수 2135

아파트 관리 관련서류 무단으로 들고 나온 입주자대표회장 ‘유죄’ 선고

  • 2003-06-20
  • 조회 수 2130

경북 안동지역.. 도난사고 비상사태.. 우유투입구를 통한......

  • 2004-02-03
  • 조회 수 2127

2006 에너지전시회 안내

  • 2006-09-20
  • 조회 수 2125

공동주택 16세대인데 8년이나 한가구가 세금을 안내요

  • 2002-10-08
  • 조회 수 2125

방범/방화관리자님 보세요.

  • 2003-11-17
  • 조회 수 2124

획기적인 새로운 광고 기법! 팝스파이더 출시!!! [1]

  • 2003-08-12
  • 조회 수 2119

엘리베이터 고장 모든 층에 고지해야

  • 2003-12-01
  • 조회 수 2111

아파트수돗물로 인하여 [1]

  • 2006-09-15
  • 조회 수 2105

제10회주택관리사보자격시험시행안내 file

  • 2007-03-23
  • 조회 수 2100

제9회 주택관리사보 자격시험 합격자 통계

  • 2007-01-03
  • 조회 수 2097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시행규칙 개정 안내

  • 2006-03-29
  • 조회 수 2097

응시자격 관련학과 지정 고시(최종, 06.11.23)

  • 2006-11-30
  • 조회 수 2083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법안[국회 본회의 의결일 2006.12.22]

  • 2007-01-08
  • 조회 수 2082

시설관리에도 국가표준(KS) 적용 file

  • 2006-11-23
  • 조회 수 2081

조세특례제한법중개정법률안 입법예고-->일반관리용역.경비용역 부가세 2005년까지 file

  • 2004-09-20
  • 조회 수 2077

건축법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2006.5.12, 건설교통부령 제512호) file [1]

  • 2006-07-18
  • 조회 수 2070

아파트 분양시 화장품냉장고를 선물해보세요

  • 2003-04-18
  • 조회 수 2066

승강기 사고 정신적 피해도 배상

  • 2006-08-28
  • 조회 수 2065

아파트, 내년부터 ‘공기 質’ 입주자에 고지 의무화

  • 2003-08-07
  • 조회 수 2063

10/8 "근로자가 자기 소유의 승용차로 출퇴근하다가 교통사고를 당한 경우 업무상 재해로 보기 어려워" <대법 전원합의체판결>

  • 2007-11-05
  • 조회 수 2060

주택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 [공포일자 2007-03-16 시행일자 2007-03-16] file [1]

  • 2007-03-16
  • 조회 수 2058

일반관리용역·경비용역에 대한 부가가치세 면세의 일몰기한을 2011년 12월 31일까지 연장하고

  • 2008-12-17
  • 조회 수 2053

공동주택 복지 및 품질기준 강화 된다 (건교부 보도자료) file

  • 2005-10-21
  • 조회 수 2050

20061107 국회제출법안(근로기준법 일부개정법률안)[1] file

  • 2006-11-30
  • 조회 수 2045

새아파트에 이온공기를

  • 2003-08-01
  • 조회 수 2040

공동주택의 공동관리 제도개선(규칙 제23조제2항)_2006.2.24개정

  • 2006-03-13
  • 조회 수 2035

아파트관리 및 하자보수공사 등을 목적으로 하는 회사가 하자보고서를 작성하는 행위가 변호사법 제109조 제1호 소정의 감정에 해당한다고 인정하기 위한 요건 file

  • 2007-09-11
  • 조회 수 2031

2008.1.1~12.31적용 최저임금(안)합의 의결 file

  • 2007-07-31
  • 조회 수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