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홈페이지는 무료회원가입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rev 2024. 06 nex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http://news.naver.com/news_read.php?oldid=20030414000030629086&s=0,1103&e=83,1248뉴스  오마이뉴스 - 기사 목록으로 가기



아파트 관리업체 변경 등에 따른 근로자 보호 위해 “근기법에 고용승계 명시해야”
[속보, 사회] 2003년 04월 14일 (월) 17:33


아파트 근로자들이 주택관리업자의 변경으로 인해 일자리를 상실하지 않도록 근로기준법에 ‘영업양도시 고용승계’ 조항을 신설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노총 중앙연구원 김상호 연구원은 최근 ‘아파트 근로자의 법적 보호에 관한 연구’ 보고서에서 “아파트 입주자대표회의가 주택관리업자 직원의 개별적 인사나 급여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도 계약상 사용자는 주택관리업자가 되기 때문에 실질적 사용자로서 책임을 회피하는 문제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며 이같은 문제는 궁극적으로 근로기준법이 사용자 개념의 변화에 제대로 대응하는 규율을 두지 않은 데 원인이 있다고 지적했다.


김 연구원은 이에 따라 근로기준법에 사업의 전부 또는 일부의 이전으로 사업주가 변경된 경우 근로관계는 포괄적으로 승계되며, 사업 등의 위탁, 임대차 등에 의한 사업 이전이나 기타 법률 행위에 의해 사실상 사업 등이 이전된 경우에도 고용은 승계된다는 내용을 명시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와 함께 공동주택 관리를 자치관리로 일원화해 주택관리업자는 ‘주택관리 대행업자’로 변경시키면서 권한과 책임 관계가 분명해지도록 하는 방안, 공동주택관리령 등 관련 법규를 수정해 입주자대표회의에 의한 인사·노무관리의 관여를 금지하는 방안 등을 개선 방안으로 내놨다.


그러나 김 연구원은 “아파트 관리기구의 변동이 아파트 관리방식의 변경이나 주택관리업자의 변경 외에도 경비 및 청소용역업체로의 외주화나 용역업체 교체 등 매우 다양하게 나타남을 고려할 때 아파트 근로자들의 고용승계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영업양도시에도 근로자들의 고용승계가 이루어지도록 근로기준법에 명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연구원은 “이같이 입법론적 방향을 제시한 이유는 ▲실제로 위탁관리업자가 ‘비독립적 관리대행업자’로 전락해 입주자대표회의가 자치관리에 가까운 방식을 시행하고 있는 점 ▲주택관리업자가 독자적으로 처분할 수 있는 금액은 평당 약 30원 정도의 수수료에 한정돼 독자적 지위를 감당할 능력이 없는 점 등 주택관리업자가 근로자파견법상 파견사업주의 지위와 유사하기 때문”이라며 “근로자파견법에서 파견근로자를 위해 사용사업주에게 근로자에 대해 개입하는 정도 만큼 일정 정도의 사용자 책임을 규정한 것처럼 입주자대표회의가 실질적 사용자로서 관여하는 정도에 따라 법 규정에 사용자 책임을 묻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김 연구원은 “만일 주택관리업자의 변경으로 인해 해고된 목동10단지아파트 노조원과 은마아파트 노조원들이 고용승계 문제를 ‘사용자 문제’로 접근하지 않고 ‘영업양도시 고용승계’라는 법리 적용 문제로 접근했다면 고용승계가 인정될 수도 있었을 것”이라며 “양도인과 양수인간 고용승계 약정이 있어야만 한다는 노동부의 행정해석과 대법원의 입장이 차이를 나타내고 있고, 프랑스나 독일 등 유럽 법원에서도 반드시 양도인과 양수인간 영업이전에 관한 직접적인 약정이 있어야만 고용이 승계되는 것은 아니라고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이번 연구 보고서에서 목동10단지아파트 근로자의 고용승계 사건을 자세히 소개하고 평석했으며, 아파트 근로자의 사용자성 문제, 프랑스 및 독일의 영업 위임 내지 위탁시 고용승계 인정 논리 등을 구체적으로 고찰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아파트관리소사람들이 리뉴얼 되었습니다. 2020-12-29 14234
공지 국내생산 원데이 마스크 판매합니다. - 아파트별 대량 구매가능 file 2020-09-17 13657
공지 글 쓰기는 무료회원 가입 후 글쓰기 하실 수 있습니다 [2] [7] 2007-03-18 34580

발코니 확장 관련 _ 방화판의 설치 _건설교통부[동영상] [1]

  • 2006-03-12
  • 조회 수 2548

061108-공동주택어린이집국공립화[2006.11.08보도자료] file

  • 2007-06-24
  • 조회 수 2550

아파트관리 도급제 추진...한국일보 [1]

  • 2002-09-06
  • 조회 수 2571

최저임금_20050906112109134---그림을 크릭 한 다음-->다시일반크기로확장하여... file

  • 2005-10-21
  • 조회 수 2575

아파트 단지 전용 홈페이지 구축업체(무료)소개

  • 2007-04-04
  • 조회 수 2576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칙 일부 개정령안_입법예고 file

  • 2008-05-15
  • 조회 수 2576

지로공과금 납부 자동화기기로...또 이 달말에는 아파트관리비를...

  • 2003-04-16
  • 조회 수 2584

주택법개정_2010년4월5일_신구조문대비표 file [1]

  • 2010-05-28
  • 조회 수 2587

소득세법시행령중개정령[양도소득세,고급주택의 전용면적 기준을...] file [1]

  • 2002-10-11
  • 조회 수 2590

앞으로 아파트 층간소음 대폭 줄어든다 file [1]

  • 2004-03-24
  • 조회 수 2595

근로기준법 개정 주요 내용 file

  • 2004-06-17
  • 조회 수 2596

서울시 "발코니 건축면적포함 재추진"

  • 2003-08-28
  • 조회 수 2597

아파트 관리업체 변경 등에 따른 근로자 보호 위해 “근기법에 고용승계 명시해야”

  • 2003-04-18
  • 조회 수 2603

아파트 관리소장 관리비 횡령 사건 “광산구의원 개입” 의혹 [1]

  • 2003-04-16
  • 조회 수 2607

임대주택법시행령중개정령[임대의무기간,분양전환가격 및 임대료...] file

  • 2002-10-11
  • 조회 수 2615

하자분쟁조정 신청방법 안내 [3]

  • 2011-04-17
  • 조회 수 2624

승강기종합정보센터_2008년 1월 4일부터는 승강기 내에 이용자가 갇히는 등의 중대한 고장이 발생한 경우 관리주체는 3일 이내에 관리원에 고장통보

  • 2008-01-06
  • 조회 수 2627

5월 1일은 근로자의 날로서 유급휴일에 해당 file [1]

  • 2007-05-14
  • 조회 수 2630

주거용 전기요금 체납시 단전 대신 전기제한공급’제도화 등 file

  • 2007-08-02
  • 조회 수 2632

◈제 3회 대한 주택관리사 협회 경기도회장기 축구대회 개최 공고◈

  • 2006-09-09
  • 조회 수 2633

공동주택 공사비지수 1.015(벽식구조) 고시 file

  • 2006-09-09
  • 조회 수 2637

입주자대표회의 회장의 임기만료에 따른 후임 회장의 선출이 부적법하여 효력이 없는 경우 임기 만료된 회장이 대표자로서 직무를 계속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한정 적극)

  • 2007-11-13
  • 조회 수 2637

금년부터 달라지는 고용안정지원금 file

  • 2007-01-12
  • 조회 수 2639

주 40시간 근로제 시행의 상시근로자수의 산정에 대한 노동부 회신내용 file

  • 2004-07-22
  • 조회 수 2642

선관위 없이 동대표 충원 ‘위법’_수원지법 성남지원[출처-한국아파트신문]

  • 2008-03-24
  • 조회 수 2644

주택관리업자 및 유지보수공사 업자 선정, 투명하고 공정해진다.- 「주택관리업자 및 사업자 선정지침」제정·고시 - file

  • 2010-07-07
  • 조회 수 2655

통상임금에 산입되어야 할 각종 수당을 통상임금에서 제외하기로 하는 노사간 합의의 효력 유무(소극)

  • 2007-11-13
  • 조회 수 2656

주택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일부개정법률(안) 입법예고

  • 2009-02-03
  • 조회 수 2676

07년7월1일 시행 근로기준법 개정법률 설명자료 file

  • 2007-08-07
  • 조회 수 2678

최저임금법사업주설명자료0609_감시.단속근로자 최저임금 감액적용 관련 file

  • 2006-09-24
  • 조회 수 2679